호문쿨루스는 고전 연금술적 형이상학(形而上學)에 속하는 개념으로, 해당 연구에는 비논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. 모든 생명은 ‘유(有)’에서 시작되지만, 호문쿨루스는 ‘무(無)’에서 ‘유(有)’를 창조하려는 상징적이자 형이상학적인 시도, 혹은 퍼포먼스에 가깝다. 과 연 그럴까? 필자의 연구 진행 과정 일부 중에서, 정자는 일정한 저온에서 활동이 느려지며, 냉동 후 해동하더라도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빠르게 사용해야 한다. 이론상으로는 난각의 정중앙을 뚫는 방법이 가장 직접적이지만, 실제로는 비추천되는 방식이다. 플라스크 등 실험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FM방식에 가깝다. 장비가 없다면 달걀 윗부분의 난각을 정교하게 제거하고 (자세한 방법은 생략) 그 위를 랩으로 덮은 뒤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하다. 주입은 찌르기보다 ‘뿌리는’ 방식이 바람직하며, 혈액과 젖소 또는 염소의 우유(미생물 활성 촉진),